영국령 소말릴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1887년 영국에 의해 보호령으로 지정된 지역으로, 1960년 6월 26일 독립하여 76년간의 영국 통치를 마쳤다. 이 지역은 1960년 7월 1일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통합되어 소말리아 공화국이 되었으나, 1991년 소말리아 내전 이후 소말릴란드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1870년대까지 이집트의 지배를 받았으며, 영국은 1884년 아덴 주둔군 주둔 이후 소말릴란드의 각 부족과 협정을 체결했다. 1898년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1900년 이후 소말리아인의 저항과 이탈리아의 침공 등 복잡한 역사를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릴란드 - 소말릴란드국
소말릴란드국은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하며 세워졌으나, 5일 후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과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이 되었고, 통합 후 소외되어 현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기원이 되었다. - 소말릴란드 - 소말릴란드의 행정 구역
소말릴란드의 행정 구역은 2008년 개편 이후 13개 주와 101개 구로 구성되며, 6개의 지역으로도 나뉘고 푼틀란드와 영토 분쟁을 겪고 있다. - 소말리아의 역사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1889년부터 이탈리아의 소말리아 식민 지배 시기로, 19세기 후반 아프리카 분할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가 소말리아 진출을 추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일부로 편입 후 유엔 신탁통치를 거쳐 독립했으나, 현재까지 영토 분쟁이 지속되고 소말리아의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빈곤에 영향을 미쳤다. - 소말리아의 역사 -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은 이탈리아가 10년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통치하며 소말리아 독립을 준비하도록 한 유엔의 신탁통치령으로,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하며 종료되었다.
영국령 소말릴란드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상단: 1903–1950 하단: 1952–1960 | |
![]() | |
![]() | |
![]() | |
국가 | God Save the Queen (1862–1901 & 1952–1960) God Save the King (1901–1940 & 1941–1952) |
![]() | |
수도 | 베르베라 (1941년까지) 하르게이사 (1941년부터) |
공용어 | 소말리어 아랍어 영어 |
종교 | 이슬람교 |
통화 | 루피 (1884–1941) 동아프리카 실링 (1941–1962) |
역사 | |
존속 기간 | 1884–1940 1941–1960 |
시작 이벤트 | 영국의 통제 |
시작 연도 | 1884년 |
이벤트 1 | 보호 조약 |
날짜 이벤트 1 | 1886년 |
이벤트 2 | 소말리아 해안 보호령 |
날짜 이벤트 2 | 1887년 7월 20일 |
이벤트 3 | 데르비시 반란 |
날짜 이벤트 3 | 1900–1920 |
이벤트 4 | 이탈리아의 침공 |
날짜 이벤트 4 | 1940년 8월 3일 |
이벤트 5 | 영국의 재점령 |
날짜 이벤트 5 | 1941년 4월 8일 |
종료 이벤트 | 독립 |
종료 연도 | 1960년 |
종료 날짜 | 1960년 6월 26일 |
선행 국가 1 | 이사크 술탄국 |
선행 국가 2 | 하바르 유니스 술탄국 |
선행 국가 3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
선행 국가 3 설명 | 1941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
선행 국가 4 | 와르상갈리 술탄국 |
후행 국가 1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
후행 국가 1 설명 | 1940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
후행 국가 2 | 소말릴란드국 |
후행 국가 2 설명 | 1960년: 소말릴란드국 |
현재 국가 | 소말리아 (법적으로) ∟ 소말릴란드 (사실상) |
인구 통계 | |
1904년 인구 | 153,018명 |
1904년 면적 | 137,270 제곱킬로미터 |
정치 | |
대표 직함 | 총독 |
대표 1 | 프레더릭 머서 헌터 |
대표 1 연도 | 1884–1888 (최초) |
대표 2 | 더글러스 홀 |
대표 2 연도 | 1959–1960 (최후) |
기타 | |
통칭 | 소말릴란드 보호령 |
로마자 표기 | Maxmiyadda Dhulka Soomaalida |
2. 역사
1870년대까지 현재의 소말릴란드 지역은 이집트의 무하마드 알리 왕조 지배하에 있었다. 그러나 1884년, 아덴에 주둔하던 영국군이 이 지역에 진출하여 각 부족과 협정을 맺기 시작했고, 1887년에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초기에는 행정상 영국령 인도 제국의 일부로 관리되었으나, 1898년 영국 외무성으로 이관되었고, 1905년에는 식민지부의 관할이 되었다.
1899년부터는 영국의 내륙 진출에 반발한 소말리족의 종교 지도자 모하메드 빈 압둘라가 이끄는 데르비시 저항 운동이 일어나 영국 세력과 충돌했다. 이 저항은 1920년 영국군에 의해 진압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한편, 이 시기 이탈리아도 소말릴란드 내륙부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며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성립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8월, 이탈리아 군대가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공하여 점령하였다. 그러나 1941년 3월, 영국군과 연합군이 반격하여 이 지역을 탈환하였다.
전후 영국 통치하에 있던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1960년 6월 26일, '''소말릴란드국'''(State of Somalilandeng)으로 독립하였다. 하지만 이는 곧이어 독립할 예정이던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와의 통합을 염두에 둔 조치였으며, 독립 5일 만인 7월 1일 두 지역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통합 이후 남부 중심의 정책 등에 대한 북부 지역의 불만이 누적되었고,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발발과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 붕괴의 혼란 속에서 구 영국령 소말릴란드 지역은 '''소말릴란드 공화국'''으로 다시 독립을 선언하였다. 소말릴란드 공화국은 국제 사회의 공식적인 승인을 받지는 못했지만, 사실상의 독립국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1. 조약 체결 및 보호령 성립 (19세기 후반)
1870년대까지 이 지역은 이집트의 무하마드 알리 왕조가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1884년, 아덴에 주둔하던 영국군이 이 지역에 진출하면서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영국은 가다부르시, 이사, 하브 아왈, 가르하지스, 아랍, 하브 옐로, 워르상갈리 등 소말릴란드의 여러 부족과 보호령 설정을 위한 협정을 순차적으로 체결했다.[4][9][10] 이러한 협정 체결 배경에는 당시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의 팽창 정책에 대한 현지 부족들의 우려가 작용했으며, 영국과의 조약을 통해 부족의 권리와 자치권을 보호받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다.[11]이러한 과정을 거쳐 1887년, 영국은 이 지역을 공식적으로 보호령으로 선포하였다. 보호령 초기인 1898년까지 행정 관리는 아덴을 통해 영국령 인도 식민지의 일부로서 이루어졌다. 이후 행정 관할권은 영국 외무성으로 이관되었고, 1905년에는 식민지부의 관할이 되었다.
당시 영국은 자원이 부족하다고 여겨진 소말릴란드 지역 자체에는 큰 전략적 관심을 두지 않았다.[12] 보호령 설립의 주된 목적은 영국 입장에서 "물자 공급 시장 확보, 노예 거래 단속, 그리고 다른 열강 세력의 개입 차단"에 있었다.[13] 특히 영국은 이 보호령을 홍해 건너편 아덴의 영국령 인도 기지에 안정적으로 육류를 공급하는 배후지로 간주했다.[14] 이러한 이유로 소말릴란드는 "아덴의 정육점"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15] 영국의 식민 행정은 주로 해안가의 질서를 유지하고 내륙과의 교역로를 확보하는 데 집중되었으며, 행정력을 해안 너머 내륙 깊숙이까지 확장하려는 노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6] 이는 이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 이탈리아가 보여준 보다 적극적인 식민 통치 방식과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17]


2. 2. 영국령 인도 제국 및 외무성 통치 시기 (1898년 이전 ~ 1905년)
1870년대까지 이 지역은 이집트의 무하마드 알리 왕조가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1884년, 아덴에 주둔하던 영국군이 이곳에 주둔하기 시작했으며, 소말릴란드의 여러 부족들과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887년에는 영국에 의해 보호령으로 선포되었다. 행정적으로는 1898년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의 통치하에 있었으나, 이후 영국 외무성으로 소관 업무가 이전되었다. 최종적으로 1905년에는 '''식민지부'''의 관할로 변경되었다.2. 3. 데르비시 저항 운동 (1899년 ~ 1920년)


1899년부터 영국은 소말리족의 종교 지도자 사이드 모하메드 압둘라 하산이 이끄는 데르비시 저항 운동에 직면하게 되었다. 영국 측에서는 그를 "미친 물라"(Mad Mullah)라고 불렀다.[19] 하산은 다라위시국을 세우고 영국 세력에 맞섰으며, 이 저항 운동은 수십 년간 지속되었다. 영국은 이를 억제하기 위해 상당한 인적, 군사적 자원을 투입해야 했다.[18]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까지 영국은 하산과 그의 데르비시 군대를 제압하기 위해 여러 차례 군사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1913년 8월 9일, 둘 마도바 전투에서 소말릴란드 낙타 경찰대는 하산의 데르비시 군대에게 큰 패배를 당했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 사령관 리처드 코필드 대령을 포함한 경찰대원 110명 중 57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하산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영국의 체포 시도를 피한 바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영국은 1914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질서 유지를 돕기 위해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을 창설했다.
1920년, 영국은 하산과 그의 추종자들을 상대로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대규모 원정을 개시했다. 영국군은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군용 항공기를 동원하여 데르비시 세력의 중심지였던 탈레를 폭격했다. 이는 하산의 군대에 큰 타격을 주었고, 결국 그는 오가덴 사막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20] 이로써 20년 이상 지속된 하산의 저항 운동은 사실상 막을 내렸으며, 하산은 이듬해인 1921년에 사망했다.[21] 이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소말릴란드 내륙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점차 확립하며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성립시켰다.
2. 4.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은 소말리 낙타 군단이라고도 불리며,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주둔했던 영국군의 부대였다. 이 부대는 20세기 초부터 1944년까지 존속했다.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의 기병들은 독특한 복장을 했다. 표준 영국군 카키 드릴을 기반으로 했지만, 니트 울 풀오버와 어깨에 드릴 패치를 포함했다. 반바지는 풋티(발목까지 오는 각반)에 울 양말을 신고 chaplis|채플리스und(샌들의 일종) 부츠를 신거나 맨발로 착용했다. 장비는 가죽 탄약 탄약대와 가죽 허리띠로 구성되었다. 장교들은 피스 헬멧과 카키 드릴 제복을 입었다. 다른 계급의 병사들은 뒤로 길게 늘어지는 pagri|파그리hi(터번)가 달린 kullah|쿨라und(모자의 일종)를 착용했다.[22]
2. 5. 영국 식민성 통치 시기 (1920년 ~ 1940년)
1920년, 소말리족의 종교 지도자 모하메드 빈 압둘라가 이끌던 다라위시국의 오랜 저항은 영국과의 화해로 종결되었다. 이는 영국이 공군력을 동원한 공세를 펼치고 내륙에서 친영 세력을 구축한 결과였다. 데르비시 저항이 종결된 이후,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대한 영국의 정책은 크게 두 가지 목표를 추구했다. 첫째는 보호령 내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었고, 둘째는 보호령이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것이었다.[23] 하지만 보호령 행정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과세 시도는 현지 주민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경제적 자립 목표 달성은 특히 어려움을 겪었다.[24]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까지 영국의 영향력은 소말릴란드 내 다른 지역으로 점차 확장되었다. 상업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일부 유목민들은 전통적인 목축 경제를 떠나 도시 지역에 정착하는 변화가 나타났다.[25] 또한, 영국은 관세 수입을 통해 영국령 인도 제국이 부담하던 소말리아 홍해 해안 순찰 비용의 일부를 충당하기도 했다.[26]

이 시기 영국령 소말릴란드에는 인도군 제4 봄베이 척탄병 대대와 같은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27]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이 지역의 평화를 깨뜨렸다. 1940년 8월 3일, 이탈리아는 약 17만 5천 명의 군대(이 중 약 70%는 아프리카 현지인으로 구성)를 동원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로부터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공했다. 수적으로 열세였던 영국군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고, 결국 8월 19일 수도 베르베라가 함락되면서 영국령 소말릴란드 전역은 이탈리아의 군사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점령한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기존의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로 구성된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와는 별개의 행정 단위로 통치했다.
2. 6. 이탈리아의 침공과 영국령 소말릴란드 탈환 (1940년 ~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0년 8월 3일, 동아프리카 전역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군대가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공했다. 약 17만 5천 명 규모의 이탈리아군(이 중 70%는 아프리카인이었다)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에서 국경을 넘어 공격을 시작했다.당시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주둔하고 있던 소수의 영국군은 베르베라로 향하는 주요 도로를 방어하려 했으나, 투그 아르간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에게 패배하며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은 군인, 정부 관계자, 그리고 약 7,000명의 민간인을 베르베라 항구를 통해 긴급히 철수시켰다.[28] 소말릴란드 낙타 기병대에 소속된 소말리아인 병사들에게는 영국군과 함께 대피하거나 현지에 남아 해산하는 선택권이 주어졌는데, 대다수는 무기를 소지한 채 남는 길을 택했다.[29]
1940년 8월 19일, 이탈리아군은 베르베라를 점령하였고, 영국령 소말릴란드 전역은 이탈리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점령된 영국령 소말릴란드는 기존의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로 구성된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와는 별개의 행정 구역으로 관리되었다.
약 6개월간의 이탈리아 점령 후, 1941년 3월, 영국군은 오퍼레이션 어피어런스 작전을 통해 영국령 소말릴란드 탈환에 나섰다. 1941년 3월 16일, 연합군의 상륙 작전이 실시되었고, 같은 달 안에 영국은 이 지역의 통제권을 다시 확보했다. 이후에도 이탈리아 게릴라 운동의 마지막 잔당이 저항을 이어갔으나, 1943년 가을을 기점으로 영국령 소말릴란드 내에서의 모든 저항 활동은 중단되었다.
2. 7. 1945년 셰이크 바시르 반란

1945년 셰이크 바시르 반란은 1945년 7월, 당시 영국령 소말릴란드 보호령의 하라제'로 부족민들이 부라오와 에리가보에서 영국 당국에 대항하여 일으킨 봉기였다. 이 반란은 예시프 하위 분파에 속한 소말리아인 종교 지도자 셰이크 바시르가 이끌었다.[30]
반란은 7월 2일, 셰이크 바시르가 와다마고 마을에서 추종자 25명을 모아 부라오 인근으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는 추종자 절반에게 무기를 나누어 주었다. 7월 3일 저녁, 이들은 부라오 시내로 진입하여 시위로 체포된 수감자들이 갇혀 있던 중앙 감옥의 경찰 경비를 공격했다. 또한 부라오 구역의 책임자인 챔버스 소령의 집을 공격하여 그의 경찰 경비원을 살해했다. 이후 셰이크 바시르와 그의 부대는 부라오 남동쪽의 전략적 요충지인 부르 다브 산으로 이동하여 요새를 점령하고 영국군의 반격에 대비했다.[31]
영국군은 셰이크 바시르 군대에 대한 초기 작전에서 여러 차례 패배하며 어려움을 겪었고, 셰이크 바시르 군대는 계속해서 이동하며 저항했다. 영국 원정대가 해당 지역을 떠나자 반란 소식은 소말리아 유목민들 사이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상황은 영국 행정부를 곤경에 빠뜨렸다. 영국 정부는 추가적인 군사 원정이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했다. 결국 영국은 철도 건설, 도로 개설 등 보호령 전체를 효과적으로 통치하는 대신 내륙 지역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1945년 초 몇 달 동안 영국군은 전초 기지에서 철수했으며, 행정력은 해안 마을인 베르베라에 국한되었다.[32]
셰이크 바시르는 인근 부족 간의 분쟁을 해결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는 이슬람 샤리아 법에 따라 분쟁을 중재하며 많은 추종자를 확보했다.[33]
셰이크 바시르는 에리가보 마을의 종교 지도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자신과 함께 반란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에리가보의 종교 지도자들과 주민들은 그의 부름에 응답하여 소총과 창으로 무장하고 봉기에 합류했다. 영국 당국은 즉각적이고 강력하게 대응했다. 마을에 군대를 증원하고, 두 차례의 작전을 통해 무장한 시위대에 발포했으며, 마을의 소규모 종교 지도자들을 체포했다.[34]
영국 행정부는 셰이크 바시르를 진압하기 위해 경찰 총장 제임스 데이비드가 이끄는 인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군대를 동원했으며, 그를 생포하기 위한 첩보 작전을 펼쳤다. 7월 7일, 영국 경찰력은 부르 다브 산의 요새에서 방어 태세를 갖춘 셰이크 바시르와 그의 부대를 발견했다. 격렬한 교전 끝에 셰이크 바시르와 그의 부사령관 알린 유수프 알리(카이브디드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짐)가 사망했다. 다른 반군 1명은 부상을 입고 2명과 함께 체포되었으며, 나머지는 요새를 버리고 흩어졌다. 영국 측에서는 작전을 지휘하던 경찰 총장과 다수의 인도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군인이 사망했으며, 경찰관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셰이크 바시르와 그의 주요 추종자들이 사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당국에 대한 저항은 소말릴란드 전역에서 계속되었다. 특히 그의 죽음은 에리가보와 바단 마을에서 추가적인 저항을 촉발했으며, 지역 곳곳에서 영국 식민지 군대에 대한 공격과 농촌 경찰의 무기 탈취 사건이 이어졌다.[35]
영국 당국은 반군 대부분이 사망한 후에도 진압 작전을 멈추지 않았다. 당국은 셰이크 바시르 추종자들의 신원을 파악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그들을 넘기도록 압박했다. 주민들이 이를 거부하자, 영국 당국은 '집단 처벌 조례'를 발동하여 셰이크 바시르가 속한 씨족인 하브 제'로 부족 소유의 낙타 6,000마리를 압수했다. 영국은 도주한 반군을 넘겨주는 것을 가축 반환의 조건으로 내걸었다.[36] 결국 남은 반군들은 체포되어 소말릴란드 북서부 젤라 해안의 자일라 군도로 이송되었다.
2. 8. 소말릴란드국 독립과 소말리아 공화국 통합 (1960년)
1960년 4월,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입법 의회는 독립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소말릴란드 신탁 통치 지역과의 통합 논의도 진행되었다. 같은 달 두 지역의 지도자들은 모가디슈에서 만나 단일 국가 구성을 합의했다. 이 합의에 따라 선출된 대통령이 국가 원수가 되고, 총리가 행정권을 가지며 123명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국회에 책임을 지는 정부 형태를 구상했다.[38]
1960년 5월, 영국 정부는 소말릴란드 보호령에 독립을 부여할 준비가 되었다고 밝혔으며, 런던에서 열린 소말릴란드 보호령 헌법 회의를 통해 6월 26일을 독립일로 확정했다.[38]
1960년 6월 26일, 영국령 소말릴란드 보호령은 '''소말릴란드국'''(State of Somalilandeng)으로 독립하여 73년간의 영국 통치를 끝냈다. 그러나 이 독립은 7월 1일로 예정된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와의 통합을 염두에 둔 잠정적인 조치였다.[3][4]

예정대로 독립 5일 후인 1960년 7월 1일, 소말릴란드국은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와 공식적으로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창설했다.[3][4] 같은 날, 통합된 입법부는 소말릴란드 의회의 의장이었던 하지 바시르를 새로운 소말리아 공화국 국회의 초대 의장으로 선출했으며, 아덴 아데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 9. 소말릴란드 공화국 (1991년 ~ 현재)
1990년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이 붕괴된 후 소말리아는 내전 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1991년, 구 영국령 소말릴란드 지역을 중심으로 독립 전쟁이 벌어졌다. 같은 해 5월, 이 지역은 '''소말릴란드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하였다.소말릴란드 정부는 자신들이 과거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1960년 잠시 존재했던 소말릴란드국을 계승하는 국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독립은 현재까지 국제 사회, 특히 국제 연합 회원국들로부터 공식적인 외교적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국제적인 승인은 얻지 못했지만, 소말릴란드는 소말리아와는 별개로 사실상의 독립국으로서 독자적인 정부와 행정 체계를 운영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정치
1898년까지 소말릴란드는 아덴의 영국 거주인에 의해 인도 정부의 종속령으로 관리되었다. 1898년부터는 외무부의 관할 하에 있었으며, 1905년부터는 식민지부에 의해 관리되었다. 다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침공 이후 1948년까지는 군정이 실시되었다.
1957년까지 행정 및 입법 권한은 전적으로 총독에게 있었으나, 총독은 자문 역할을 하는 비법정 위원회를 두었다. 1947년에는 부족 기반의 보호령 자문 위원회가 설립되었으며, 다른 공동체의 대표와 공식 위원도 참여했다. 1957년에는 입법 위원회와 행정 위원회가 창설되어 자치권이 일부 확대되었다. 1959년부터는 입법 위원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독립 직전인 1960년에는 새로운 헌법이 도입되었다.
4. 우표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the British empire. 1901
https://archive.org/[...]
Openlibrary.org
2013-12-26
[2]
웹사이트
Somaliland Protectorate, communicated by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https://digitallibra[...]
2021-07-27
[3]
웹사이트
Somalia
http://www.worldstat[...]
2011-01-25
[4]
EB1911
Somaliland
[5]
뉴스
The Signs Say Somaliland, but the World Says Somalia
https://www.nytimes.[...]
2010-02-02
[6]
웹사이트
The Transitional Federal Charter of the Somali Republic
http://www.chr.up.ac[...]
University of Pretoria
2010-02-02
[7]
뉴스
Somaliland Marks Independence After 73 Years of British Rule
https://www.nytimes.[...]
2008-06-20
[8]
뉴스
How Britain said farewell to its Empire
https://www.bbc.co.u[...]
2018-06-20
[9]
서적
Politics, Language, and Thought: The Somali Exper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The Collapse of the Somali State: The Impact of the Colonial Legacy
Haan Associates
[11]
서적
Political Conflict on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Praeger
1981
[12]
문서
The State and Rural Transformation in Northern Somalia, 1884–1986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
문서
[14]
문서
[15]
웹사이트
Unhappy Masses and the Challenge of Political Islam in the Horn of Africa
http://www.somaliaon[...]
2027-03-10
[16]
문서
The state and rural transformation in Northern Somalia
[17]
뉴스
The Invisible Country
http://www.pulitzerc[...]
2010-03-27
[18]
서적
State Collapse and Post-conflict Development in Africa: The Case of Somalia (1960-2001)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20-10-25
[19]
서적
Mad Mullah of Somaliland
https://books.google[...]
Naval & Military Press
2015-10-15
[20]
웹사이트
How the United States Reversed Its Policy on Bombing Civilians
https://www.questia.[...]
The Humanist
2014-09-11
[21]
문서
The state and rural transformation in Northern Somalia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웹사이트
Ethiopia in World War II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2014-01-11
[27]
문서
Valour and sacrifice: famous regiments of the Indian Army
Allied Publishers
[28]
문서
[29]
웹사이트
http://www.london-ga[...]
[30]
학위논문
Constructing colonial hegemony in the Somaliland protectorate, 1941-1960
https://tspace.libra[...]
2021-06-02
[31]
서적
British Military Administration in Africa 1941–1947
HMSO
[32]
웹사이트
Taariikhdii Halgamaa: Sheekh Bashiir Sh. Yuusuf. W/Q: Prof Yaxye Sheekh Caamir {{!}} Laashin iyo Hal-abuur
https://laashin.com/[...]
2021-05-31
[33]
학술지
Taariikhdii Halgamaa: Sheekh Bashiir Sh. Yuusuf
2018-01-11
[34]
서적
British Military Administration in Africa 1941–1947
HMSO
[35]
학술지
'The Evils of Locust Bait': Popular Nationalism during the 1945 Anti-Locust Control Rebellion in Colonial Somaliland
https://www.jstor.or[...]
2021-06-02
[36]
서적
Annual Colonial Office Report on the Somaliland Protectorate, 1948
[37]
웹사이트
Agreements and Exchanges of Letters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and the Government of Somaliland in connexion with the Attainment of Independence by Somaliland
http://foto.archival[...]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60-06-26
[38]
웹사이트
Somali Independence Week
http://wardheernews.[...]
[39]
웹사이트
Somali State Conflict: Revisiting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Somali Security State (1969-1991)
https://orsam.org.tr[...]
2019
[40]
웹사이트
Census of the British empire. 1901
https://archive.org/[...]
Openlibrary.org
2013-12-26
[41]
웹사이트
Census of the British empire. 1901
https://archive.org/[...]
Openlibrary.org
2013-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